본문 바로가기
생활비 관리 노하우

퇴직소득세 줄이는 5가지 방법 실수령액 올리는 꿀팁

by 와니비니 경제이야기 2025. 6. 10.

퇴직소득세 줄이는 5가지 방법

– 실수령액 올리는 꿀팁 총정리

 

 

 

 

 

 

 

퇴직 후에도 세금이 이렇게 많다니!

 

직장 생활을 마무리하고 받는 퇴직금, 생각보다 적은 실수령액에 놀란 경험 있으신가요?

많은 분들이 "세전 퇴직금"만 계산한 채 실제 수령 금액은 크게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퇴직소득세는 금액이 클수록 부담도 커지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퇴직소득세를 줄이는 현실적인 전략 5가지

깔끔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IRP 계좌 활용 – 세액공제와 분리과세를 동시에

 

퇴직금을 IRP 계좌로 이체하는 장면을 표현한 일러스트

 

퇴직금을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로 이체하게 된다면

분리과세가 적용돼 절세가 가능합니다.

 

또한 세액공제 한도까지 활용하면 이중으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놓치면 정말 아까운 금액이에요.

 

 

2. 퇴직 시기 조정 – 연말보다 연초가 유리한 이유

 

12월 퇴직과 1월 퇴직 시 세금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

 

퇴직 시기를

12월 말보다 다음 해 1월 초

조정하면 절세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퇴직소득세는 퇴직연도 소득을 기준으로 누진세율이 적용되게 됩니다.

해당 연도의 다른 소득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어 세금 부담이 감소하게 될수 있습니다.

 

3. 근속연수 인정 기간 체크 – 무급휴직, 수습기간 포함?

 

근속연수 인정 항목을 정리한 인포그래픽

 

근속연수는 퇴직소득세 공제 항목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회사는 수습기간이나 육아휴직 기간을 근속에 포함하지만

정확히 확인하지 않으면 공제 금액이 줄어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 수습 기간: 대부분 포함되나, 근로계약서 확인 필요
  • 무급휴직: 규정에 따라 근속에서 제외될 수 있음

 

 

 

 

 

 

 

4. 상여금 포함 여부 체크 – 평균임금 계산의 핵심

 

상여금 포함 여부에 따라 퇴직금과 세금이 달라지는 그래프

 

퇴직소득세 계산은 평균임금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평균임금에는 최근 3개월간 받은

상여금, 연차수당, 수당 등이 포함되는데요,

상여금이 많은 경우 퇴직금이 올라가게 됩니다.

동시에 퇴직소득세도 증가하게 됩니다.

 

→ 상여금이나 수당이 몰리는 시기엔 퇴직을 피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어요.

 

 

5. 퇴직 직전 시뮬레이션 필수 – 예상 수령액 꼭 확인하세요

 

노트북 화면에 퇴직소득세 계산기가 표시된 일러스트

많은 분들이 세전 금액만 보고 퇴직 결정을 내리지만, 실제 수령액을 확인하지 않으면 큰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요즘은 온라인 퇴직금 계산기나 국세청 시뮬레이터를 통해 쉽게 계산 가능하니, 퇴직 전 반드시 1~2회 이상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마무리 요약

  • IRP 계좌 이체는 세액공제 + 분리과세 효과
  • 퇴직 시기 조정은 세율 구간 영향 ↓
  • 근속연수 인정 범위 꼭 확인
  • 상여금 포함 여부 체크 후 퇴직 계획
  • 계산기 활용한 시뮬레이션 필수

 

 

다음 편 예고

👉 4편: 퇴직금 대신 퇴직연금 받는 게 유리할까? – DC, DB, IRP 완전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