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계산기, 제대로 활용하는 법
퇴직금, 왜 미리 계산해야 할까요?
퇴직금은 회사 생활의 마지막 선물 같은 존재입니다.
하지만 정확히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미리 확인하지 않으면,
예상보다 적게 받거나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퇴직을 앞두셨거나
중도 퇴사를 고민 중이시라면,
퇴직금 계산기를 꼭 활용해보세요.
간단한 입력만으로
예상 퇴직금과 세전 금액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기란?
퇴직금 계산기는 온라인에서 간단한 정보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퇴직금을 계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 네이버 등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 네이버 퇴직금 계산기
다음 편 예고
👉 2편: 퇴직금 계산 시 자주 헷갈리는 '통상임금', '근속연수', '중도 퇴사' 개념 정리!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 (예시 포함)
기본 공식: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월급: 300만 원
- 근속기간: 3.17년
- 1일 평균임금: 10만 원
- 퇴직금 = 10만 × 30 × 3.17 = 약 951만 원
퇴직금 계산 시 주의할 점 4가지
항목 | 내용 |
---|---|
중도퇴사자 | 1년 미만 근속자는 퇴직금 대상이 아님 |
세전 vs 세후 | 대부분 계산기는 세전 금액 기준 (세금 차감 전) |
무급휴가 | 무급휴가는 근속연수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음 |
주휴수당 포함 | 비정규직은 주휴수당 포함 여부 확인 필요 |
퇴직금 계산 후 꼭 확인할 사항
- 예상 금액과 실제 수령 금액 비교
- 회사의 퇴직금 지급 명세서 확인
- 차이가 있을 경우 고용노동부 상담(☎1350)
추가로 확인해야 할 것들
- 퇴직금과 실업급여, 근로장려금 중복 수급 가능 여부
- 퇴직 후 4대 보험 전환 시 건강보험료 상승 여부
- 생활비 예산을 미리 계획하는 것이 중요
- 위로금, 일시금 명목 지급 시 근로계약서 재확인
마지막 핵심요약
핵심 요약 | 내용 |
---|---|
사전 계산 | 퇴직금 계산기로 예상 수령액 확인 |
정보 확인 | 근속연수, 평균임금, 주휴수당 등 포함 여부 검토 |
사후 점검 | 회사 지급 내역과의 차이 분석 |
다음 편 예고
👉 2편: 퇴직금 계산 시 자주 헷갈리는 '통상임금', '근속연수', '중도 퇴사' 개념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