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 지원금 알아보기

맞벌이 부부가 놓치기 쉬운 정부지원금 4가지! 지금 꼭 신청하세요

by 와니비니 경제이야기 2025. 6. 18.

 

맞벌이 부부라서 지원금은 해당 없다고 생각하셨나요?

생각보다 많은 복지 혜택이 소득 기준이 아닌 상황 기준으로도 지급됩니다.

오늘은 맞벌이 부부가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 4가지를 정리해 드립니다.

 

맞벌이 부부가 놓치기 쉬운 정부지원금 4가지
맞벌이 부부가 놓치기 쉬운 정부지원금 4가지

 


📌 목차


1. 긴급복지 생계지원

맞벌이 가정도 갑작스러운 실직, 병원비 등으로 경제적 위기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땐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활용해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조건: 최근 실직, 질병, 이혼 등 경제위기 발생
  • 💰 생계지원금: 4인 기준 최대 153만 원 지원
  • 📝 신청: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2. 아이 돌봄서비스 정부지원

 

아이돌보미와 아이가 함께 있는 장면 일러스트
아이동봄서비스

 

맞벌이 부모에게 가장 절실한 것이 '육아지원'입니다.

정부에서는 아이돌보미 파견 서비스를 시간제/종일제 선택형으로 운영하며, 소득에 따라 정부지원 비율이 최대 85%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 📌 대상: 만 12세 이하 자녀 둔 맞벌이 가정
  • 💰 지원: 시간당 1,000~2,000원 수준 부담
  • 📝 신청: 아이돌봄 누리집 또는 복지로

 

3. 청년·신혼부부 월세지원

정부지원금신청
2. 정부지원금신청

 

맞벌이 부부라도 초기 자산이 부족한 경우, 청년/신혼부부 월세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둘 중 한 명이 청년(만 39세 이하)이라면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요.

  • 📌 조건: 무주택 세대주, 중위소득 100~150% 이하
  • 💰 지원: 월 10~20만 원 (최대 12개월)
  • 📝 신청: 복지로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

4. 자녀 교육비 지원 (방과 후, 돌봄 등)

맞벌이 부모를 위한 다양한 교육비 지원도 존재합니다.

방과 후학교 자유수강권, 초등돌봄교실, 유아학비 지원 등 아이 연령별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대상: 저소득 또는 다자녀 가정 중심 → 일부 맞벌이도 해당
  • 💰 예시: 방과후 월 6~8만 원 상당 수강료 지원
  • 📝 신청: 교육청, 학교, 복지로 등 채널별 상이

 


✅ 마무리: 바쁘다고 놓치지 마세요!

맞벌이라는 이유로 정부지원금에서 배제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복지 사각지대가 되기 쉬운 계층이기도 합니다. 지금이라도 해당 여부를 꼭 확인하시고,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모두 챙기시길 바랍니다 😊

💡 지원금 관련 신청 링크는 ‘정부 24’, ‘복지로’, ‘아이 돌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도움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려요!

📌 다음 글: 자영업자를 위한 정부지원금 정리